프레임의 법칙
<프레임의 법칙>
'프레임의 법칙이란,
똑같은 상황이라도 어떠한 틀을 갖고 상황을 해석하느냐에 따라 사람들의 행동이 달라진다'는 법칙입니다.
선생님이 매일 지각을 하는 학생에게 회초리를 들었습니다.
어쩌다 한 번이 아니라 날마다 지각을 하는 것을 보고 그 학생이 괘씸해서 회초리를 든 손에 힘이 들어갔습니다.
다음 날 아침,
선생님은 차를 타고 학교에 가다가 늘 지각하는 그 학생을 우연히 보게 되었습니다.
한 눈에 봐도 병색이 짙은 아버지가 앉은 휠체어를 밀고, 요양시설로 들어가고 있었던 것입니다.
순간 선생님은 가슴이 서늘해졌습니다.
지각은 곧 불성실이라는 생각에 이유도 묻지 않고, 무조건 회초리를 든 자신이 부끄러웠고 자책감이 들었습니다.
가족이라고는 아버지와 단 둘 뿐이라서 아버지를 지켜드려야 하는 입장에 있는 지각한 학생,
게다가 요양시설은 문을 여는 시간이 정해져 있었습니다.
학생은 요양원이 문을 여는 시간에 맞춰 아버지를 모셔다 드리고,
100미터 달리기 선수처럼 뛰어서 학교에 왔을 텐데,
그래도 매일 지각을 할 수밖에 없었을 텐데...
그 날 역시
지각 한 학생은 선생님 앞으로 와서 말없이 종아리를 걷었습니다.
그런데
선생님은 회초리를 학생의 손에 쥐여주고 자신의 종아리를 걷었습니다.
그리고
"미안하다, 정말 미안해"라는 말과 함께 그 학생을 따뜻하게 끌어 안았습니다.
그리고
두 사람은 함께 울었습니다.
지금 우리는 서로가 힘들고 외롭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함께 사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함께 사는 법'을 배울 때 가장 필요한 건 상대방이 되어보는 것입니다.
역지사지입니다.
생대방의 입장에서 한번 생각해보고
'틀림'이 아니라
'다름'이라고
서로가 서로를
포용한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조지 레이코프 교수.언어학자.프레임의 법칙.캘리포니아 버클리캠퍼스.]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