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인권 침해 좌시하지 않겠다”…미 트럼프 측근, 이례적 경고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 과정에서 인권 침해가 발생할 경우 미국이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경고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측근으로부터 공개적으로 제기됐다.
지난 21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의원연맹 소속 여야 국회의원들과의 비공개 간담회에서, 미국우선주의정책연구소(AFPI)의 프레드 플라이츠 부소장은 “정권이 바뀌었다고 해서 전직 대통령에 대해 불공정한 수사나 인권 침해가 있어선 안 된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상황을 직접 언급한 것으로 27일 확인됐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트럼프 대통령 역시 비슷한 일을 겪었다”며 “정치 보복에 가까운 수사는 한미 관계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AFPI는 트럼프 행정부 출신 고위 인사 50여 명이 포진한 미국 내 대표적 보수 싱크탱크로, 트럼프 2기 정부의 국정 청사진을 설계하는 핵심 기구로 평가받는다.
간담회에 참석한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은 “워싱턴의 한국 정치에 대한 관심은 예상보다 깊었다”며 “특히 전직 대통령에 대한 수사 공정성과 인권 문제를 언급한 것은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는 메시지”라고 밝혔다.
일부 한국 의원들은 플라이츠 부소장의 발언에 강하게 반박하며 “윤 전 대통령이 저지른 잘못이 있기 때문”이라고 항의한 것으로 전해졌으나, 미국 측 인사는 이 같은 주장에 굽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재임 중 ‘친미 외교’, ‘자유주의 국제질서 수호’ 등의 기치를 내세우며 한미동맹 강화에 집중했던 인물이다. 그에 대한 국내 사법 처리 과정을 외국의 보수 진영 인사들이 ‘정치적 박해’로 인식할 수 있는 여지가 크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한편, 간담회 직후 참석자들 사이에서는 “이 발언을 외부에 공개해도 되는가”, “국익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CIA 분석관 출신으로,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의 비서실장을 지냈으며, 트럼프 복귀 시 CIA 부국장으로 지명될 유력 인물로 거론된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 방향이 자칫 외교 마찰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점에서, 향후 정부의 대응 기조에도 변화가 생길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