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정

(2)
<공정한 사회> 최근 공정(公正)이라는 개념이 우리 사회의 화두로 대두 되고 있다. 공정(公正)의 사전적 의미는 '공평하고 올바르다'라는 뜻이다. 여기서 공평이란 말은 균등배분을 뜻하는 건 아니다. 그것은 사회주의 발상이다. 공평은 누구나 기회의 균등을 가질 수 있고 그 기회는 일반적이고 보편적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올바르다는 말은 정의롭다, 반듯하다는 뜻과 같다. 2010년 정부는, 선진 일류 국가로의 도약을 위해 국정 과제로 '공정사회'를 제시하였으며, 5대 실천과제로 공정한 법질서로 부패 없는 사회, 균등한 기회가 보장되는 사회, 권리가 보장되고 특권이 없는 사회, 건강한 시장경제로 활력 있는 사회, 약자를 배려하고 지원하는 사회를 제시한 바가 있다. 과연 우리사회는 지금 이러한 공정사회로 가고 있는가?일부..
쪽 팔리게 살지 맙시다. 옛날 고전에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하여 배워왔다. 그리고 모든 인간은 누구나 악마와 천사의 속삭임에서 선택을 하면서 살아 온다. ​최근 TV청문회를 보면, 소위 잘나가는 사람들이 온갖 부정과 편법을 동원해 인생을 살아 오는걸 보아 왔다. 그러나 그들을 보고 손가락질 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냥 ‘털어서 먼지 안나는 사람 있나’ 하고 치부해 버리기 일쑤다. 나도 저럴수 있겠다는 공감이 가는 측면이 많이 있기 때문이다. ​아무튼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재주껏 살아온 사람은 능력있는 사람이 되고, 그냥 평범하게 살아온 사람은 패배자가 되고 무능력한 사람으로 추락하게 된다. 편법과 반칙이 오히려 정당화 되는 사회 우리는 그런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다. ​하물며 이런 반칙과 부정이 공직사회에서도 만연되고 성행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