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포커스

경북 북부 상급병원 유치…상주시는 여전히 ‘뒷짐’

새 정부 출범 이후 경북 북부권을 중심으로 상급종합병원 유치와 의과대학 설립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상주시의 대응이 여전히 미온적이라는 지역사회의 비판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북도는 안동과 포항을 중심으로 의과대학 신설과 병원 설립을 적극 추진 중이다. 안동대와 경북도립대 통합으로 탄생한 경국대는 교육부 글로컬대학 30’에 선정되며 국립의대 설립을 위한 기반을 갖췄고,

도청 신도시에는 의대 설립 부지를 확보해 안동병원과의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포항의 포스텍도 의과학전문대학원체제를 도입해 스마트병원과 융합연구센터 설립 계획을 내놓는 등 구체적 실행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경북대학교 역시 상주캠퍼스 부지에 '경북대 상주병원'(가칭) 건립을 내부적으로 제안한 바 있다.

문경, 예천 등 경북 북부 의료 사각지대 주민들의 진료 접근성을 높이고, 향후 의대생 임상실습 병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대를 모았지만,

정작 상주시는 아무런 후속 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실제 상주캠퍼스는 경북대와의 통합 당시 노인병원 분원 설치 한의학 전문대학원 유치 생태연구소 이전 등 8가지 상생 발전안이 제시됐지만, 지금까지 제대로 이행된 사업은 하나도 없는 실정이다.

는 협력관 파견 및 연구용역 발주 등을 통해 경북대와의 관계를 이어왔지만, 이번 의료혁신 흐름 속에서는 존재감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지역 의료계 한 관계자는 상급병원 유치는 단순한 보건서비스 수준을 넘어 지역 경제, 인구 정주, 교육 여건을 좌우하는 핵심 과제라며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으면 기회는 타 지역으로 넘어간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소멸의 가장 큰 원인은 정주 여건 부족이며, 정주 여건의 핵심은 교육과 의료다. 특히 의대는 기반이 없으면 유치 자체가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당시 서울대 10개 만들기구상을 제시하며 경북지역에는 의과대학 설립 검토 및 상급종합병원 유치 지원을 공약했고, 해당 내용은 새 정부 국정과제에도 반영됐다.

그러나 상주지역은 관련 의료공약에서 배제된 채, 정부 공약으로는 중부내륙철도 조기 착공한 가지만 건의돼 있어 아쉬움이 크다.

지역 시민단체들은 의료 인프라 유치는 상주의 미래를 위한 중대 과제임에도 가 손을 놓고 있다새 정부 국책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 지방소멸에 대응해야 한다.”는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지역 정치권과 행정당국이 경북도 및 경북대학교와의 협력 채널을 강화하고, 병원 유치에 필요한 실질적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