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칼럼] 흙과 불의 철학자, 이학천 명장을 만나다.
-경북 문경 묵심도요에서 꽃피운 200년 도자기의 혼문경 마성면, 초록의 산자락을 끼고 돌아가면 ‘묵심도요’가 있다. 200년을 이어온 도자 명가, 그 7대 전승자인 이학천 명장(61년생)은 오늘도 흙을 만지며 시간을 굽는다. 그는 구수한 말솜씨 만큼이나 정직하고도 깊은 도자기의 길을 걷고 있었다.9살에 아버지이자 6대 도공이신 이정우 선생에게 도예를 배운 그는 “도공의 피는 피할 수 없는 운명이었다”고 말한다. 휘어진 손가락을 내보이며 “다시 태어나도 도예가의 길을 걷겠다”고 말하는 그의 눈빛엔 주저함이 없다. 백자, 분청, 청자, 진사도자기, 다완 등 거의 모든 전통 도자기를 망라해온 그의 작업은 단순한 재현이 아니라 창조였다.이 명장은 고려청자의 상감기법과 조선 분청의 박지, 음각, 양각, 투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