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에 대한 호칭 정리
죽음에 대한 호칭 정리 어느 학생에게 아버지의 나이를 물었더니 향년(享年) 54세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순간 당황하여 그럼 돌아가신 지는 얼마나 되었는가?하였더니 학생은 더욱 당황해 하며 지금 집에 계시는데요 라고 한다. 아마 학생은 향년(享年)을 나이의 높임말인 연세(年歲)나 춘추(春秋)와 같은 의미로 혼동하였던 모양이다. 향년(享年)은 살아 생전의 나이 곧 죽은 이가 이 땅에서 향유(享有)하였던 수명을 말한다. 우리말 가운데 죽음에 대한 별칭은 매우 다양하다. 사망(死亡), 임종(臨終), 별세(別世), 타계(他界), 하직(下直), 서거(逝去), 작고(作故), 선서(仙逝), 기세(棄世), 하세(下世), 귀천(歸天), 영면(永眠), 영서(永逝), 영결(永訣), 운명(殞命), 절명(絶命) 등 이외에도 엄청..
도행역시(倒行逆施)
도행역시(倒行逆施) 내 人生은 내가 만든다. "순리를 거슬러 행동한다"는 뜻의 도행역시(倒行逆施)’가 교수신문이 뽑은 사자성어였다고 합니다. "社長(사장)은 힘들어도 견디지만, 직원은 힘들면 사표낸다. 연인(戀人)은 불쾌하면 헤어지지만, 부부는 불쾌해도 참고 산다." 원인은 한가지 일에 대한 책임감과 압력이다. 수영할 줄 모르는사람은, 수영장 바꾼다고 해결 안 되고, 일하기 싫은 사람은, 직장을 바꾼다고 해결이 안 되며, 건강을 모르는 사람은, 비싼약을 먹는다고 병이 낫는 게 아니고, 사랑을 모르는 사람은, 상대를 바꾼다고 행복해지는 게 아니다. 모든 문제의 근원은, 내 자신에게 있음이다. 내가 좋아하는 사람도 내 자신이고, 내가 사랑하는사람도 내 자신이며, 내가 싫어하는 사람도 내 자신이다. 내가 변하..